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미분양 의미와 미분양관리지역 경기침체로 주택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미분양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의 주택을 팔고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려는 수요는 악성 미분양을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미분양 의미와 미분양관리지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분양주택 미분양가구의 증가 현상은 그동안 경기 침체기에 반복되어 오며, 미분양의 증감은 주택 시장의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데요.  미분양이란 아파트 분양을 했지만 팔리지 않은 주택을 말하며, 분양 물량보다 청약을 신청한 사람이 적어 1순위, 2순위 청약에도 주택이 남아 청약 경쟁률 1:1에 미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선분양 시스템을 고려하면 미분양주택은 크게 두 가지로, 준공 전 미분양과 준공 후 미분양으로 나눌 수.. 2025. 2. 20.
집값담합 범죄입니다. 온라인 카페나 단톡방 등을 통해 부동산 중개를 제한하거나 가격을 왜곡시키는 집값담합 행위는 정상적인 부동산 거래를 방해하는 불법행위인데요. 오늘은 불법행위인 집값담합이란 무엇이고, 불법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집값담합 불법행위「공인중개사법」에 따르면 정상적인 부동산 거래 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로는 자격증·등록증 대여, 무등록 중개, 이중계약서 작성, 중개대상물 설명 불성실, 집값담합, 업·다운계약서 등 총 50개의 불법행위가 있는데요.  또한, 부동산중개업소 간 경쟁과열로 인해 불법적인 방법으로 취득한 개인정보를 이용해 전화, 문자 발송 등은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하는 행위도 불법입니다.* 주요 불법행위 처벌 내용위반행위처벌내용관련법률가격 담합하는 행위3년이하 징역 .. 2025. 2. 19.
소형주택의 정의와 기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1인 가구 수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주택시장에서도 대형보다는 소형주택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그런데 소형주택은 어떤 주택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 내용은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오늘은 소형주택의 정의와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형주택의 기준들소형주택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주거 전용면적 60m² 이하의 작은 면적을 가진 주택을 의미하는데요. 주택의 한 형태로 여겨지며 「주택법」에 용어가 정의되어 있을 것 같지만 딱히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다만, 주택공급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서 주택소유 여부 판정기준으로 무주택 요건과 함께 소형주택에 대한 정의를 참고할 수 있는데요.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53조에 따르면 상속으로 취득한 공유지분.. 2025. 2. 18.
우선변제권과 최우선변제권의 차이 경매로 인하여 임차주택이 처분될 경우 경제적 약자인 세입자의 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해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는 우선변제권과 최우선변제권이라는 권리가 있는데요.둘 다 용어 자체에서도 느껴지듯이 세입자의 보증금을 다른 채권보다 우선하여 돌려받을 수 있다는 뜻으로 비슷해 보이는데 이 두 권리의 차이는 있을까요? 오늘은 우선변제권과 최우선변제권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변제권, 최우선변제권 차이전월세 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야하는 일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확보해야 법적으로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데요. 대항력이란 임차인이 제삼자에게 임대차 내용을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 힘을 말하며,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치면 취득할 수 있으며, 우선변제권과 최우선변제권 모두의 필수요건입니다. 여기에 임.. 2025. 2. 17.
전세가율의 의미와 계산 통상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집을 처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할 수 있는 깡통전세로 분류되는데요.세입자가 깡통전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계약 때 주택의 매매시세에 기초하여 전세가율을 반드시 점검해아 합니다.오늘은 전세가율이란 무엇이고 세입자에게 있어서 전세가율이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가율이란?전세가율이란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이며, 전세보증금이 매매금액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전세 계약 할 때 부동산의 흐름을 예측하고, 내 보증금을 지키는 판단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차이가 나는 것을 '갭'이라 하며, 이 차이를 통해 이익을 얻는 투자를 갭투자라 말하는데요.투자자에게는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차이.. 2025. 2. 16.
부동산 직거래 안전한가?! 최근 부동산 거래는 경기 침체와 불안정한 부동산 시장상황이 맞물리면서 당금마켓과 같은 온라인 직거래플랫폼을 이용한 개인 간 직거래가 증가하고 있는데요.부동산 시장은 큰돈이 몰리고, 전세사기, 집값 띄우기, 로또청약, 떴다방, 먹튀 등 온갖 불법과 편법이 난무하는 만큼 부동산 직거래의 안정성은 더욱 중요합니다.오늘은 부동산을 직거래 하는 이유와 직거래 시 유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직거래부동산 직거래란 중개인을 거치지 않고, 매도인과 매수인이 직접 만나 부동산 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이뤄진 약 300만 건의 부동산 거래 중 46%가 직거래로, 아파트 11.7%, 분양권 16.4%, 오피스텔 30.9%, 연립·다세대주택 31.9%, 공.. 2025.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