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경제

무인매장의 불편한 진실?! 무인매장은 원조격인 아이스크림 판매점을 비롯하여 카페, 편의점, 빨래방, 애완용품, 공방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고 있는데요.사람이 없이 키오스크등의 기기만을 사용하여 영업하기에 사업자, 소비자 모두에게 편리한 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무인매장이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닌데요. 오늘은 비대면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늘어나고 있는 무인점포의 불편한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인매장의 불편한 진실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우리는 비대면의 편의성을 알게 되면서 판매 직원이 없는 무인매장은 다양한 형태로 늘어나고 있는데요. 무인매장의 원조격인 아이스크림 판매점에서부터 셀프빨래방, 코인 노래방, 셀프 주유소, 카페, 문구점, 즉석사진, 애완용품점 등 알게 모르게 우리 생활 곳곳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처럼 .. 2025. 1. 10.
보일러 외출모드, 알고 써야 난방비 절약한다?! 기온이 영하로 자주 떨어지는 겨울철에 조금이라도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선 외출 시 보일러를 '외출모드'로 설정해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요.하지만 보일러의 '외출모드'를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난방비 폭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오늘은 보일러 외출모드의 올바른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일러 외출모드 활용겨울철에 보일러를 끄고 나갔다가 귀가 후 다시 난방을 하려고 하면 보일러는 그동안 떨어진 온도를 올리기 위해 많은 양의 연료를 소비하게 되어 그만큼 난방비는 올라가는데요.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난방비의 절약을 위해 외출 시 보일러를 외출모드로 설정하고 집을 비웁니다.하지만, 아주 단열이 잘 되어 있는 집이 아닌 이상 출근할 때나 잠깐 나갈 때 날씨가 춥다고 무심코 외출 기능을 쓰는 건 바람직하지 .. 2024. 12. 15.
지하수는 사용요금이 없다?!: 지하수 이용부담금 시골집을 다니다 보면 물을 계속 틀어놓는 등 아낌없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지하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요금부담이 없어 괜찮다고 합니다.물론 지하수를 끌어올리려면 모터가 돌아가야 해서 전기요금은 부과되겠지만 과연 지하수를 사용하면 사용요금이 없을까요? 오늘은 지하수 이용부담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하수 이용부담금우리나라 총인구 중 지방 및 광역상수도에 의해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는 전국 인구의 상수도 보급률은 2022년 통계 기준 97.8%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수도시설이 미보급된 지역이나 생활용, 농어업용, 공업용 등에서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지하수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이처럼 지하수는 보급률이 아닌 대체 수원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지하수법」 제20조의 3.. 2024. 11. 24.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시 뚜껑은? 투명 페트병을 따로 분리 배출하는 이유는 이물질 함량이 낮을수록 순도가 높은 고품질의 재활용원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인데요.그래서 우리는 투명한 생수병과 음료수병은 내용을 비운 후 라벨을 제거하고 가능한 압축 하여 분리수거장에 별도로 마련된 곳에 배출합니다.그런데 투명페트병의 뚜껑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순도 높은 원료가 되려면 분리해서 배출해야 할 것 같은데, 뚜껑을 다시 닫아야 할지, 아님 따로 뚜껑만 모아서 버려야 할지 헷갈립니다.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먼저 그 해답을 말씀드리면 닫아서 분리배출해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선별체계에서 뚜껑만을 모을 수 없고, 부피가 작은 플라스틱을 생물들이 삼키거나 뚜껑고리에 끼이면 위험하기 때문인데요. 투명한 페트병은 재활용 업체의 재활용원료.. 2024. 11. 15.
안전한 장난감, 학용품 고르려면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아이가 쓰는 물건일 텐데요.포장지에 성분이 표시된 먹는 것과는 다르게 유모차나 아이용 장난감 등을 살 때는 어떠한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만약 우리 아이가 가지고 노는 장난감에 발암물질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아이에게 안전한 장난감, 학용품 고르는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전한 장난감, 학용품 아이의 장난감을 둘러싼 안전 문제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며, 알게 모르게 몸속으로 흘러들어 간 유해 물질은 아무리 소량이라도 어린 아이에게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는데요. 예를 들어 많은 플라스틱 장난감에는 단단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어주기위해 화학첨가제(가소제)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데요. 이러한 화학첨가제에 인체가 장기간 노출.. 2024. 9. 3.
오염된 비닐도 폐비닐로 분리배출 여러분은 폐비닐을 어떻게 버리시나요? 대부분은 오염되지 않은 폐비닐만 색깔에 관계없이 분리하여 배출하리라 생각됩니다. 그동안 오염된 비닐은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종량제봉투로 배출해야만 한다고 알고 있었는데요. 앞으로는 오염된 비닐도 폐비닐로 분리배출 할 수 있으며, 해야 한다고 합니다. 폐비닐 분리배출그동안 폐비닐을 버릴 때 음식물 등 이물질이 묻은 비닐, 다른 물질과 섞인 비닐, 젖은 비닐, 노끈류는 재활용이 않된다는 이유로 종량제 봉투에 일반쓰레기와 같이 배출하거나 음식물 등 묻은 이물질을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한 후 폐비닐로 분리 배출하였습니다.  이렇게 폐비닐은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종량제봉투에 배출되어 소각‧매립되는 경향이 높았는데요. 이제는 지금까지 종량제봉투에 배출했던 오염된.. 2024. 6. 11.
집에 TV 없는데 TV수신료 안내도 되나요? 한국방송(KBS)과 교육방송(EBS)을 운영하는 데 사용되는 TV 수신료는 그동안 텔레비전이 있는 가구는 전기료에 합산해 월 2,500원씩 납부해 왔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7월 정부가 이 수신료를 전기료에 합쳐서 걷지 말고 분리 징수 하도록 방송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TV가 없는 세대는 TV수신료를 안 내도 되게 되었는데요.그럼 아파트에 살면서 TV수신료를 안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TV수신료 분리 납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V 없으면 TV수신료 안 내도 된다1994년 도입된 TV수신료와 전기요금 통합징수 제도로 그동안 수신료가 전기요금과 합산 고지되고, 이에 따라 합산된 금액을 납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그래서 수신료를 납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알기도 어려웠으며, TV가 없는데도 수신료.. 2024. 5. 2.
시성비를 추구하는 시대: 돈보다 시간이 중요하다 세상이 너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가성비, 가심비의 소비문화를 지나 이제는 시간 대비 가치를 중시하는 '시성비'가 떠오르고 있는데요.소비할 때 돈을 아끼는 것이 중요했던 습관에서 소비할 때도 시간이 돈만큼 중요한 자원으로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만족을 극대화하자는 것입니다. 시성비의 시대'가성비'는 가격대비 성능을 나타내는 용어로써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좋은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시성비'는 가성비뿐만 아니라 시간까지 좋아야 한다는 시간 대비 가치를 의미하는 신조어로서 우리에게 빠르게 스며들고 있습니다. 일본과 중국에서도 우리나라의 시성비처럼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일본은 'Time Performance(타임 퍼포먼스)'의 줄임말로 '타이파', 중국은 '.. 2024. 5. 1.
집 화장실문 열어두시나요? 여러분, 집 화장실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화장실문을 어떻게 유지 하시나요? 문을 열어놓고 있나요? 닫아 놓고 있나요? 화장실 문을 닫아야 할지 여부는 상황과 개인의 선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만 집에서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화장실 문을 열어두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화장실 문을 열어둬라 대부분의 아파트 화장실은 아파트 특성상 창문이 없고 환풍기가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실은 습식으로 물기나 습기가 많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며, 그래서 자연스럽게 냄새가 발생하기 쉬우며, 세균과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인데요. 그렇다고 화장실 내 환풍기를 계속 틀어 놓을 수도 없어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화장실 문을 조금이라도 열어 놓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화장.. 2024.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