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시기, 비슷한 위치에 공공주택들의 모집공고를 보다 보면 LH, SH 등 공공주택사업을 주관하는 시행자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공공기관이겠거니 하고 그냥 지나칠 수 있는 LH 와 SH, 그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H, SH란 무엇인가?
‘공공주택’이란 국가 또는 지자체, 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 공공기관 및 민간사업자가 국가 또는 지자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 매입 또는 임차하여 공급하는 주택으로 분양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분양주택’과 임대 또는 임대한 후 분양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분류되는데요.
현재 공공주택사업 시행자는 LH가 공급량의 72%, 나머지 28%를 SH 등 지방공사가 맡고 있다고 합니다.
LH는 무엇일까요?
LH는 국토교통부 산하기관으로서 2009년에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합쳐지면서 만들어졌으며, 국민주거생활의 향상은 물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국민 경제 발전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인데요.
한국토지주택공사 영문공식명칭인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에 기반한 대표 이니셜인 LH를 기업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요 사업으로는 주거복지사업, 주택 건설·매입·공금·임대 및 관리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서울을 포함한 전국단위의 공공주택사업을 모두 다루고 있습니다.
매입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입주자격 및 소득기준
청년, 신혼부부님들 혹시 매입임대주택이라고 아시나요? 매입임대주택은 나라에서 하는 공공임대주택 사업의 여러 종류 중 한 종류로 도심 내 현 생활권에서 거주 가능하도록 한 청년 및 신혼
sanerang.com
그럼 SH는 무엇일까요?
SH는 서울특별시 산하기관으로서 1989년 서울시도시개발공사를 시작으로 서울 시민의 주거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해 설립된 기업인데요.
서울주택도시공사 영문명 'Seoul Housing and Communities Corporation'의 대표 이니셜인 SH를 기업명으로 사용하며, 서울시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를 위해 서울시 내의 공공주택사업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할 지역 도시 내 개발이나 기반시설 확충 등을 목적으로 설립한 기업들이 존재하는데요.
경기도에는 경기도주택도시공사(GH)가 있으며, 이외 부산도시공사, 전남개발공사 등과 같이 시에 설립된 경우는 ‘도시공사’, 도에 설립된 경우는 ‘개발공사’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국, LH, SH, GH 등은 공공주택사업을 다루는 기업으로서, 모두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를 목적으로 택지 개발, 주택 건설, 재개발 사업 등 국민주거생활의 향상을 위해 운영되기 때문에 아주 큰 차이는 없는데요.
다만, 기관마다 관할하는 지역 범위가 달라 해당 지역 주민만 신청할 수 있는 등 조건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공공주택을 신청하고자 한다면, 자신이 속한 지역에 관련된 기관을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서울 지역: LH, SH
- 경기도 지역: LH, GH
- 이외 지역: LH, 그 지역 지방공사
공공임대주택 8가지 유형 특징 한방에 이해하기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주택사업자가 국가의 지원을 받아 건설, 매입 또는 임차하여 임대하거나 임대 후 분양전환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을 말합니다. 유형이 여러 가지라 한눈에 들어오지도
sanerang.com
오늘은 LH, SH 등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기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비슷한 시기, 비슷한 위치에도 주관하여 공급하는 곳이 다르므로 먼저 어느 기관에서 공급하는지를 알고, 공고문을 확인한다면 헷갈리는 경우는 없을 것입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갇힘?!: 탑승자와 관리주체 대처방법 (0) | 2025.01.09 |
---|---|
수급조절용 토지 비축?!: 토지은행이란? (0) | 2025.01.08 |
인구감소지역 1주택자 특례?!: 세컨드홈 (0) | 2025.01.06 |
방쪼개기 하는 이유: 이행강제금 계산 (0) | 2025.01.05 |
남동향과 남서향 아파트의 차이 (2) | 2025.01.03 |